본문 바로가기
정치소통

The Divide: A Brief Guide to Global Inequality and its Solutions

by open gover 2024. 9. 6.
728x90

제이슨 히켈의 저서 '격차'는 전 세계적으로 만연한 경제 불평등과 빈곤의 실태를 고발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책이다.

Jason Hickel (2018), The Divide: A Brief Guide to Global Inequality and its Solutions

이 책은 크게 4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1부에서는 개발 패러다임의 허구성과 빈곤 퇴치의 실패를 지적한다. 2부에서는 식민주의와 구조적 폭력이 빈곤의 뿌리라고 주장하며, 3부에서는 부채와 신자유주의 체제가 불평등을 재생산한다고 비판합니다. 마지막 4부에서는 자선이 아닌 정의 실현을 통해 빈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저자 제이슨 히켈은 스와질랜드 출신의 인류학자로, 런던정경대학에서 활동 중입니다. 그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이주노동자들의 삶을 직접 경험하며 불평등과 착취 문제를 연구해왔다. 풀브라이트 장학생이자 국립과학재단, 웬너-그렌 재단 등의 지원을 받은 바 있는 그의 전문 분야는 개발, 불평등, 글로벌 정치경제입니다. 이번 책에서도 그의 관심사와 연구 분야가 잘 드러나고 있다.

이번 서평에서는 '격차'에 담긴 주요 내용을 요약하고 평가하고자 한다. 먼저 전 세계적인 경제 불평등의 실태와 그 배경을 살펴본 후, 기술 발전이 불평등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다. 그리고 저자가 제시한 불평등 해소 방안을 소개하고, 이를 통해 불평등 문제 해결의 중요성과 개인 및 사회의 역할을 강조하고자 한다.

제이슨 히켈의 책에서 그의 주장은 상상력의 필요성과 그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적 변화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상상력은 단순히 창의적인 사고를 넘어서,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경제적 불평등과 사회적 불안정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는 데 필수적이다.

토마스 상카라의 "상상력의 필요한 광기"라는 말은 근본적인 변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비정상성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이는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고,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하는 용기를 의미한다. 상카라는 낡은 공식에 등을 돌리고, 미래를 창조할 수 있는 용기를 가져야 한다고 역설한다.

이러한 비정상성은 사회적, 경제적 불평등을 해결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루기 위해 필수적이다. 기존의 체제와 관행에서 벗어나 새로운 아이디어와 접근 방식을 받아들이는 것은 필연적으로 저항과 갈등을 동반하지만, 이러한 과정이 없이는 진정한 변화가 불가능하다.

상상력은 우리가 직면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혁신적인 해법을 제공한다. 상카라의 말은 단순히 개인적인 차원을 넘어, 사회 전체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데 필요한 용기와 창의력을 강조한다. 결국, 상상력이 지닌 "광기"는 우리가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 데 필수적인 요소가 된다.

히켈은 우리가 현재의 체제와 관행에 도전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상상력은 우리가 기존의 한계를 넘어서는 데 도움을 주며,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한 구체적인 비전을 제공한다. 그 과정에서 우리는 과거의 실수를 반성하고, 미래를 위한 새로운 길을 제시해야 한다.

상상력의 "필요한 광기"는 우리에게 불가능해 보이는 것들을 가능하게 만드는 힘을 지니고 있다. 이는 불평등을 줄이고, 정의로운 사회를 만드는 데 필수적인 요소다. 히켈은 우리가 경제적 불평등과 사회적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현실을 재구성하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통해 새로운 사회를 상상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결국, 상상력은 단순한 개인의 창의성을 넘어, 집단적으로 사회를 변화시키는 동력이 된다. 이 책은 독자에게 이러한 상상력의 중요성을 일깨우며, 이를 통해 우리가 직면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길을 제시하고 있다. 상상력을 통해 우리는 더 나은 세상을 만들어갈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불평등 해소를 위한 첫 번째 대책은 교육 기회의 획기적인 확대입니다. 모든 아이들이 양질의 공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최소 교육 수준에 대한 국가 차원의 기준을 마련하고, 저소득 지역에 대한 교육 투자를 늘려야 합니다. 더불어 민간 기관과 협력하여 장학금과 직업 훈련 프로그램을 확대함으로써 교육 접근성을 높여야 합니다. 성인들에게도 평생학습을 위한 재교육 기회를 지속적으로 제공해야 합니다. 교육 과정에는 불평등과 차별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다양성 존중 의식을 기르는 내용을 필수적으로 포함시켜야 합니다.

두 번째는 공정한 조세 제도와 재분배 정책입니다. 누진 과세를 통해 고소득층의 세금을 인상하고, 이를 복지와 공공서비스 확충에 투자함으로써 소득 불평등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빈곤층을 위한 현금 지원, 주거 보조금 등 직접적인 재정 지원 프로그램을 강화하고, 의료, 교통, 통신 등 공공 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늘려 기본적 생활 수준을 보장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자원이 보다 공평하게 재분배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기술 발전의 혜택을 모두가 누릴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기술 독점을 방지하고 기술 이전과 지식 공유를 장려하는 정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기업들이 저개발 지역에 기술 투자를 하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자동화로 인한 실직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직업 재교육 프로그램을 활성화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신기술의 혜택이 특정 계층에 편중되지 않고 모든 이에게 고루 돌아갈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교육, 조세, 기술 분야에서 다각적인 정책적 노력이 필요합니다. 궁극적으로는 모든 개인의 기본적 삶의 기회를 보장하고, 공정한 경쟁의 장을 마련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발전과 번영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제이슨 히켈의 저서 '격차'는 경제 불평등 문제의 심각성과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극심한 경제 불평등이 만연하고 있으며, 이는 역사적 식민지배와 착취에서 비롯된 구조적 문제입니다. 개발도상국들이 연간 3조 달러의 순유출액을 겪고 있고, 1990년대 구조조정 정책으로도 막대한 GDP 손실을 입었다. 더욱이 WTO 체제와 불평등한 교환 관행으로 인해 개발도상국들이 매년 수조 원의 손실을 보고 있는 실정이다.

기술 발전 역시 자동화와 기술 독점으로 인해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있다. 자동화로 대량 실업이 발생했고, 다국적 기업들이 저임금 노동력을 착취하며 부의 집중화가 초래되었다. 이로 인해 사회적 갈등과 정치적 불안정이 야기되고 있다.

저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육 기회 확대와 공정한 조세 제도 마련, 기술 발전의 혜택 공유를 제안하고 있다. 모든 개인에게 기본적 삶의 기회를 보장하고, 공정한 경쟁의 장을 마련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발전과 번영을 이루자는 것이다.

경제 불평등 문제는 더 이상 소수의 문제가 아니며 빈곤층의 삶을 피폐하게 만들고 중산층의 몰락을 부추기며, 사회 전반의 갈등과 불안정을 야기하고 있다. 이는 우리 모두의 행복과 번영을 가로막는 장애물이다. 따라서 경제 불평등 해소는 시급한 과제이며, 우리가 반드시 해결해야 할 중요한 문제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가 협력해야 한다. 정부는 교육과 복지, 기술 혁신 분야에서 실질적인 정책을 마련하고, 기업은 기술 공유와 고용 창출에 힘써야 한다. 개인적으로도 다양성 존중과 상호 이해, 연대의 실천을 통해 불평등 해소에 기여할 수 있다.

모든 사람이 인간으로서의 기본적인 존엄성을 누리며 기회의 평등을 보장받을 수 있는 세상을 만들어가야 한다. 우리 모두가 노력한다면 보다 공정하고 정의로운 세상을 향해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모든 계급투쟁은 정치투쟁이다. 노동자여 단결하자.

 

 

 

 

 

격차 - 예스24

『격차』는 유엔 『인간개발보고서』 통계자문위원, 유럽 그린뉴딜 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신진 경제인류학자 제이슨 히켈의 대표 저작으로 제국주의부터 신자유주의에 이르기까지 잔혹

www.yes24.com

 

728x90

'정치소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gic Words by Tim David  (4) 2024.09.10
The Art of Public Speaking" - Dale Carnegie  (2) 2024.09.09
The Kamala Harris Story  (2) 2024.09.07
HOW TO WRITE A STRATEGIC PLAN  (2) 2024.09.05
Franz Joseph HAYDN  (2) 2024.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