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후정의

IPCC AR6 Synthesis Report: Climate Change 2023

by open gover 2024. 8. 30.
728x90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https://www.ipcc.ch/

 

IPCC —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Through its assessments, the IPCC determines the state of knowledge on climate change. It identifies where there is agreement in the scientific community on topics related to climate change, and where further research is needed. The reports are drafted and

www.ipcc.ch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는 기후변화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세계기상기구(WMO)와 유엔환경계획(UNEP)1988년에 공동 설립한 국제기구로, 기후변화에 관한 과학적 규명에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

 

IPCC는 기후변화의 추세, 원인, 영향 및 대응 전략에 대한 연구 결과를 검토하여 6~8년 주기로 평가보고서를 발간한다. 필요 시 특별보고서와 방법론보고서도 발간하여 시의적절한 주제를 다룬다. 현재까지 6번의 평가주기가 진행되었으며, 최종 산출물인 평가보고서는 UNFCCC 협상 시 주요 과학적 근거로 활용된다. 또한, 각국 정부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정책 수립에 이 정보를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은 기후변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대응 전략을 강화하는 데 기여한다.

 

이 작업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해 IPCC는 정부 대표자들의 회의를 개최하며, 패널의 전체 회의나 IPCC 작업 그룹으로 구성되어 보고서를 승인하고 채택하며 수용한다. IPCC의 전체 회의에서는 IPCC의 작업 프로그램과 예산, 보고서 개요 등 기타 업무를 결정한다. IPCC 사무국은 정기적으로 회의를 열어 과학적 및 기술적 측면에 대한 지침을 제공한다. 또한, 보고서를 준비하기 위해 전문가의 범위 회의와 주요 저자 회의를 조직하며, 다양한 주제에 대한 전문가 회의와 워크숍도 개최하여 작업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이 회의의 결과를 출판한다

 

How the IPCC works, most recent findings, and future work

https://www.youtube.com/watch?v=xJQvFCUR0zI

 

 

세계 과학자가 참여·발간하는 IPCC 평가보고서(AR: Assessment Report)는 기후변화의 과학적 근거와 정책방향을 제시하고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에서 정부간 협상의 근거자료로 활용된다.

 

IPCC 평가주기마다 지정된 의장이 평가보고서 및 종합보고서 작성을 이끈다. 의장은 의장단을 구성하며, 이 산하에 3개의 실무그룹과 1개의 태스크포스가 존재한다. 6차 평가주기 동안 의장은 고려대학교 이회성 교수가 선출되어 보고서 작성을 리드하고 있다. 실무그룹은 기후변화 과학, 영향 및 적응, 완화로 구분되며, 국가온실가스인벤토리 태스크포스도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각 영역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기후변화 문제를 종합적으로 다루는 데 기여한다.

AR6 Synthesis Report (SYR)

 

 

IPCC 6차 종합보고서 표지가 한국의 구례 부근에서 촬영된 '38차 기상기후 사진영상 공모전' 수상작이 사용되어 화제가 되었다.

 

https://www.ipcc.ch/report/ar6/syr/

 

AR6 Synthesis Report: Climate Change 2023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www.ipcc.ch

 

 

Our choices will

reverberate for

hundreds,

even thousands,

of years.

 

 

 

종합 보고서는 세 가지 작업 그룹 평가 보고서의 내용을 기반으로 한다: WGI 물리학적 과학 기초, WGII 영향, 적응 및 취약성, WGIII 기후 변화 완화, 그리고 세 가지 특별 보고서인 1.5°C의 지구 온난화, 기후 변화와 토지, 변화하는 기후에서의 해양과 냉동권을 포함한다.

 

6차 평가주기(2015~2023) 동안 발간된 보고서는 특별보고서 3, 방법론보고서 1, 평가보고서 4권으로 구성된다. 평가보고서에는 실무그룹별 보고서 3권과 종합보고서가 포함되어 있다. 종합보고서는 모든 특별보고서 및 평가보고서를 총망라하여 작성되며, 20233월에 발간되었다. 각 보고서는 방대한 내용을 담고 있어, 정책결정자를 위한 요약서가 함께 제공된다. 이러한 요약서는 핵심 내용을 간결하게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온도가 상승할수록 극단적인 현상이 더 널리 퍼지고 뚜렷해지고 있다고 경고한다.

 

효과적이고 공정한 기후 행동을 지금 주류화하면 손실과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한 여러 가지 실행 가능하고 효과적인 옵션이 존재하며, 기후 행동은 자연과 사람에게 공동의 이익을 제공한다.

 

 

인간이 초래한 기후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치가 필요하다고 다음의 4가지를 제시한다. 

  •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세상을 만들기 위해 신속하고 급격하게 배출량을 줄인다.
  • 회복력을 강화하기 위해 실천과 인프라를 확대한다.
  • 2030년까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을 거의 절반으로 줄인다.
  • 다양한 차원에서의 행동이 요구된다.

 

 

앞으로의 길이 명확하다. 기후 회복력 있는 개발은 기후 변화에 적응하는 조치를 온실가스 감축과 통합하여 더 넓은 이익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청정 에너지 접근은 건강을 향상시키고, 저탄소 교통 수단은 공기 질과 고용 기회를 개선한다. 이러한 개선은 경제적 이익을 가져오지만, 기후 회복력 있는 발전은 온도 상승에 따라 쉽지 않은 길이 도리 것이다. 따라서 우리의 향후 선택이 미래 세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것이다. 다양한 지식과 가치관에 기반한 접근이 필요하며, 저소득 공동체의 기후 위험 감소에 우선순위를 두는 것이 중요하다.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온실가스 배출을 줄일 수 있는 글로벌 자본이 필요하다. 기후 투자 재정을 늘리는 것이 중요하며, 정부와 금융 기관이 장벽을 줄이는 역할을 해야 한다. 효과적인 정책 수단을 확대하면 깊은 배출 감소와 기후 회복력을 달성할 수 있다. 도시 지역은 기후 행동의 중요한 기회를 제공하며, 저탄소 생활 방식을 촉진할 수 있다. 신뢰와 협력이 있는 곳에서 변혁적인 변화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

 

 

728x90